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학회안내
학회소개
지회안내
위원회·부설기관
행사안내
포상안내
후원사·협력기관
사무국 안내
입회안내
회원종류
회원가입
회원현황
회비납부방법
정기간행물
학회지
국문논문
영문논문
토목용어사전
기타 간행물 자료
문헌검색
구독안내
행사 및 교육
정기총회
토목의날
컨벤션
송산토목문화대상
건설정책포럼
미래 국토인프라 혁신포럼
기술교육
70주년 기념사업
대한민국 토목문화유산
이슈톡콘서트 및 기타
알림마당
공지사항
학회소식지
토목계소식
학회일정
회원동정
갤러리
자료실
묻고 답하기
커뮤니티
영문사이트로 이동
모바일 주 메뉴 보기
통합로그인
학회안내
학회소개
지회안내
위원회·부설기관
행사안내
포상안내
후원사·협력기관
사무국 안내
입회안내
회원종류
회원가입
회원현황
회비납부방법
정기간행물
학회지
국문논문
영문논문
토목용어사전
기타 간행물 자료
문헌검색
구독안내
행사 및 교육
정기총회
토목의날
컨벤션
송산토목문화대상
건설정책포럼
미래 국토인프라 혁신포럼
기술교육
70주년 기념사업
대한민국 토목문화유산
이슈톡콘서트 및 기타
알림마당
공지사항
학회소식지
토목계소식
학회일정
회원동정
갤러리
자료실
묻고 답하기
커뮤니티
GROUPWARE
영상회의
HOME
KSCEPRESS
GROUPWARE
영상회의
통합로그인
영문 사이트로 이동
사이트맵 열기
검색어 입력
사이트맵
사이트맵 닫기
학회안내
학회소개
지회안내
위원회·부설기관
행사안내
포상안내
후원사·협력기관
사무국 안내
입회안내
회원종류
회원가입
회원현황
회비납부방법
정기간행물
학회지
국문논문
영문논문
토목용어사전
기타 간행물 자료
문헌검색
구독안내
행사 및 교육
정기총회
토목의날
컨벤션
송산토목문화대상
건설정책포럼
미래 국토인프라 혁신포럼
기술교육
70주년 기념사업
대한민국 토목문화유산
이슈톡콘서트 및 기타
알림마당
공지사항
학회소식지
토목계소식
학회일정
회원동정
갤러리
자료실
묻고 답하기
커뮤니티
토목용어사전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 건설의 힘, 대한토목학회
>
정기간행물
>
토목용어사전
>
정기간행물
학회지
학회지 투고 안내
학회지 광고 안내
학회지 열람
국문논문
국문논문투고안내
국문논문 접수 심사시스템
국문논문 게재료 결제시스템
국문논문 열람
영문논문
영문논문 안내
- Elsevier 홈페이지
- 논문투고시스템(Elsevier)
- 영문논문집 열람(Gold OA)
- Award
토목용어사전
기타 간행물 자료
이슈페이퍼
보도자료
연차보고서
뉴스레터
문헌검색
구독안내
토목용어
전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검색
일러두기
저자
대한토목학회
발행일
2000년 10월 26일
대한토목학회에서 5년간에 걸쳐 집대성한 표준 토목용어사전!
토목분야의 약 20,000 용어 수록!
토목분야 문헌의 표준이 되는 토목용어사전!
기본방침
①
본 사전은 “用語集”, “辭典”, “事典”의 구실을 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새 시대의 새로운 “標準 土木用語辭典”을 목표로 편찬하였다.
②
이 사전은 제1부 “용어해설”과 제2부 “영한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는 물론, 특수어, 외래어, 시사어, 옛말, 새말 외에 인명, 지명, 서명 등 고유명사에 이르기까지 이를 중요성, 영구성, 빈도수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널리 망라하여 선별되었다.
표제어
①
표제어는 국어(한글), 한자, 영어의 순으로 표기하였다.
②
모든 표제어는 한 개의 단어로 간주하여 기본적인 단어 및 그 파생어, 합성어, 구(句) 등을 표제어로 삼아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붙여쓰기로 하였다.
보기) 가새, 가변일방통행도로, 가상일의원리, 가동노즈크노싱 등
③
표제어는 우리 말을 원칙으로 하였고, 우리 말이 그 사항의 개념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거나 이에 대체할 말이 없을 때, 또는 보편성이 없을 경우에는 외래어를 그대로 썼다.
보기) 콘크리트, 모르터, 와셔 등
④
뜻이 다르고 발음이 동일한 용어는 표기(한글)의 표제어에 1), 2)를 붙였다.
보기) 경도1)(硬度, hardness), 경도2)(經度, longitude) 등
⑤
배열은 일반 국어사전과 같이 ㄱ, ㄴ, ㄷ 순으로 하였다.
외래어 및 기호와 부호
①
외래어는 교육부 제정 한글화 표기방법에 의거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②
제2부 영한대역은 알파벳순으로 영문용어를 수록하였고, 그에 상응하는 국문용어를 수록하였다.
③
이 토목용어사전에 사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 표제어와 해설을 구분
- 글자의 생략, 표제어 부분의 생략 표시
- 복합어 사이에
→ 가보라는 뜻으로 참고되는 표제어 앞에
↔ 상대어, 반대어, 가보라는 뜻도 됨
/ 앞의 영문과 같은 뜻으로 사용될 때의 나열
④
이 토목용어사전에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km:킬로미터, m:미터, cm:센티미터, mm:밀리미터, l:리터, ml:밀리리터, μ:미크론, km2:평방킬로미터, m2:평방미터, g:그램, kg:킬로그램, W:와트, kW:킬로와트, V:볼트, π:파이, ℃:섭씨온도, ˚:도, t:톤, cal:칼로리, ft:피트, %:퍼센트, mol:몰, J:줄, lux(lx):럭스, dB:데시빌, cd:칸델라, pH:피에이치 등
가나다
가나다
가나다
가나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10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10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단어